728x90
728x90
지인에게 전화를 걸 때, 가까운 사이거나 자주 통화하는 경우라면 번호를 외워서 걸 수도 있다.하지만 대부분은 연락처 목록에서 통화할 사람의 이름을 검색한 뒤, 통화 버튼을 누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만약 전화번호 저장 기능이 없어서 매번 번호를 직접 입력해야만 전화를 걸 수 있다고 상상해 보자.지인이 10명 정도라면 그나마 번호를 외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지인의 수가 더 많아진다면 모든 번호를 기억하기 어려울 것이다. 수많은 웹사이트의 IP 주소 역시 모두 외울 수 없기 때문에우리가 쉽게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 있는데 그것을 DNS라고 한다. DNS란?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과 ip 주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그래서 DNS에서는 도..
응애 시절 개발자일 때는 코드 한 줄 한 줄 쳐 내려갈 때마다,그에 따라 내가 작성한 코드가 화면에 잘 나오는 게 너무 좋았는데,그러다 시뻘건 글자로 갑자기 공포감을 조성하는 에러 메시지를 볼 때마다 상당히 두려운 마음이 앞섰다. 혹자는 개발을 하다가 에러를 마주하면 오히려 즐겁다라고 하는 변태적인 성향을 드러냈었는데최근에 나 역시 조금씩 에러가 좋아지고 있는걸 보면, 개발자는 다 그런가 보다. 아무튼 이번에 얘기해 볼 에러는 주니어 개발자 시절이라면 한 번쯤 겪어봤을 그 에러CORS에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CORS란?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이라는 단어로 이루어진 축약어다.단어를 풀이해 보자면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정책'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여기서 ..
크롬을 키고 주소창에 구글의 주소를 치면 구글이 나온다.이 당연한 이치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하지만 당신이 개발자라면 왜? 라는 생각이 안들어도 왜? 라고 물어봐야 한다 이번에는 개발자 면접 질문 중에서도 사골 of 사골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질문에 대해서 접근해 보자. 간단하지만 복잡한 브라우저실제 사용할 때는 간단하게 주소창에 특정 웹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는데입력 후 엔터를 친 순간부터 해당 사이트가 화면에 뜰때까지 브라우저 뒤에서는 복잡한 구조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우리는 개발자기에 그 뒤를 알아보려고 한다.해당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1. 브라우저에 구글을 입력하면 먼저 DNS서버에게 이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한다.2. DNS가 일련의 과정을..
우선 각 단어의 뜻을 풀어보자면 SSR (Server-Side-Rendering) 이고, CSR (Client-Side-Rendering)이다. 두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들어간 단어를 본다면 렌더링(Rendering)이라는 단어가 있다. 그렇다면 이 단어 부터 알아보는게 맞겠다. 렌더링이란? 렌더링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긴 하겠지만, 간단하게 말하면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요청해 받은 내용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을 뜻한다. 예를들어, 우리가 주소창에 네이버 주소를 입력해서 엔터를 누르면 네이버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 주소를 입력해서 엔터를 누르는 이 상황에 서버에 요청을 하는 것이고, 응답을 통해 받은 파일들을 화면에 그려주는 것이 렌더링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러한 렌더..